정부가 국내에 유통 중인 수입 맥주 20여종에 대한 농약 성분 잔류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된 '농약 맥주' 리스트에 대해 식약처 차원에서 검사를 진행 중으로 전해졌습니다.
농약 맥주 리스트의 출처는 미국 소비자단체인 US PIRG입니다.
이 단체는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미국에서 유통되는 맥주와 와인에서 농약 성분인 글리포세이트가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글리포세이트는 농약회사인 몬샌토가 생산하는 제초제 '라운드업'의 주요 성분으로 국제암연구소가 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한 바 있습니다.
US PIRG가 보고서에 공개한 글리포세이트 성분이 검출된 맥주는 칭따오, 쿠어스 라이트, 밀러 라이트, 버드와이 저, 코로나 엑스트라, 하이네켄, 기네스 드라우트, 스텔라 아르투어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맥주 브랜드별 검출량은 칭다오는 49.7 ppb, 버드와이저는 27ppb, 코로나는 25.1ppb, 하이네켄은 20.9ppb, 기네스는 20.3ppb, 스텔라는 18.7ppb 등 입니다.
이와 관련한 논란이 일자 미국 환경청은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의 검출량이라는 해명을 내기도 했습니다.
'농약 맥주' 리스트가 논란이 되자 식약처도 대응에 나섰습니다.
우리나라가 정한 글리포세이트 일일섭취허용량(ADI)은 0.8㎎/㎏ BW/day이며, 맥주 원료의 글리포세이트 안전기준은 보리 20㎎/㎏, 밀 5.0㎎/㎏, 호프 0.05㎎/㎏입니다.
식약처는 해당 보고서가 언급한 수입 맥주 20여종을 분석해 글리포세이트 함유량과 인체 유해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식약처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맥주 40종과 수입와인 1종에 대한 분석이 끝난 후 국산맥주 10종에 대한 검사 결과도 함께 공개할 예정입니다. 분석 및 검사 결과는 다음주 중 나올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좋은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쭈의 ASMR' 전남친 토스트 레시피, 인기가요 샌드위치 레시피는? 편의점 남자친구 토스트, 인가 샌드위치 출시 (0) | 2019.07.21 |
---|---|
여름 메이크업 완성에 조성아 톤커버스틱! 복숭아 피부를 만들어주는 조성아 톤커버스틱의 효과는? (0) | 2019.06.23 |
소주·맥주 가격 인상(주류 출고가 인상) 식당에서 1병에 얼마? (0) | 2019.04.25 |
수입 젖병 세척제 '에티튜드' 가습기살균제 성분 MIT 검출, 쁘띠엘린 자진 회수(환불, 제품 교환 방법, 회수전용 사이트) (0) | 2019.04.17 |
'100만원 이상 벌금형' 성범죄 공무원 퇴출, 미성년자 성범죄는 영구 공직제외(임용결격 성범죄 범위, 형량, 기간, 공시생 성범죄, 공무원 퇴직사유, 공무원 미투) (0) | 2019.04.17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