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새로운 시작과 희망으로

2019년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임시정부 수립이 우리나라의 시작이냐 아니냐를 놓고 소모적인 논쟁이 계속돼왔지만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라는 이 외침은 1919년 대한민국 임시헌장에 새겨져 있습니다.


현행 우리 헌법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첫 자취를 품고 있는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와 '민주공화제'가 시작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3·1운동은 일제의 폭압적인 식민지 지배에 대한 민족의 저항으로 일어났습니다. 


3.1운동


1919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으로 일제 강점기에 나타난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이었습니다.


대한독립만세


대한독립


3·1운동 직후인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세워졌습니다. 이날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는 대한민국 임시헌장이 공포됐습니다. 3.1독립운동의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국내외 인사들이 모여 뜻을 합한 결과였습니다.



일제의 탄압으로 조직은 점차 위축되었고 끼니를 걱정할 정도로 궁핍했지만 뜻을 꺽지는 않았습니다.


항일운동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이어지면서 독립운동은 활기를 띄었고 일제의 탄압은 더욱 거세졌습니다. 


백범 김구


거액의 현상금이 걸린 백범 김구 선생은 한 중국 인사의 도움을 받아 몸을 숨겼습니다. 윤봉길 의사의 의거 직후인 1932년 임시정부는 상하이를 떠나 항저우로 옮겨갔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일제의 탄압을 피해 전장, 광저우, 류저우, 치장, 충칭으로 계속 떠돌아다녀야 했습니다.


임시정부 이동경로


1945년 광복이 되기까지 27년간 임시정부는 가혹했던 우리 민족의 시간을 굳건히 지켰습니다.


임시정부 주요사건


일제가 영토를 빼앗고 민족을 탄압했어도 주권은 국민에게서 나온다는 민주공화제는 훼손되지 않았습니다.


김구 이승만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년, 역사를 마주한 사람들은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이어갑니다.


본 포스팅을 잘 보셨다면, 공감을 꾸욱 눌러주시고 댓글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